목록CS (6)
어흥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1. Process 정의: 실행중인 프로그램 각각 독립된 메모리 영역을 할당 받는다 (Code, Data, Heap, Stack) 더보기 타 프로세스와 통신하기 위해선 프로세스간 통신(IPC: Inter Process Communication)이 필요하다 Message Passing Shared Memory 커널이 중재, 데이터 저장 및 읽는다 공유 메모리를 두고 같이 사용 동기화 필요 없다 성능이 좋다 성능이 떨어진다 동기화 필요 - 동시에 메모리 접근 - 메모리 저장 전에 읽으려는 경우 최소 1개의 Thread를 가진다 고유한 프로세스 블록 PCB(Process Control Block)을 가진다 2. Thread 프로세스의(일) 실행 단위 각각의 스레드는 서로 다른일을 수행 → 고유의 Stack +..
1. Index란? : 수많은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자료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료구조 2. 특징 - 1개 혹은 여러개의 Column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- 고속의 검색 동작 + 레코드 접근과 관련 효율적인 순서 매김 동작 제공 - [키 값, 주소] 형태로 저장되어 보통 테이블보다 적은 용량을 차지한다 - 대부분 B/B+ 트리의 구조를 가진다 2-1. 인덱스의 관리 DBMS는 index를 항상 최신의 정렬된 상태로 유지해야 원하는 값을 빠르게 탐색할 수 있다. 따라서 INSERT, UPDATE, DELETE가 수행된다면 각각 다음과 같은 연산을 추가적으로 해줘야하며, 그에 따른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INSERT: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인덱스를 추가한다 DELETE: 삭제하는 데..
1. 정의 : Datebase Management System의 약자로,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 2. 기능 1) 데이터 정의(DDL: Data Definition Language) - 응용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데이터 구조를 지원할 수 있도록 데이터 베이스의 논리적 구조와 DBMS에서 정의한 데이터 모델에 맞게 정의한다. - 데이터 베이스의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 사이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두 구조사이의 매핑을 지원한다. - 명령어: CREATE, ALTER, DROP, RENAME, TRUNCATE (TRUNCATE: Commit 자체가 포함되어 있어서 테이블에서 모든 행(Data)과 공간을 삭제 -> Rollback해도 복구 불가. 무결성을 유지하는 메커니즘을 생략하여 빠른 제거를 실현 -> ..
1. 인터럽트 - 종류(대범위): 외부 인터럽트, 내부 인터럽트, SW 인터럽트 [외부 인터럽트] :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것 1) 전원 이상 인터럽트 - 전원이 갑자기 꺼져서 메모리가 날라가는 것을 방지 2) I/O 인터럽트 - Context switch할 때 일어나는 인터럽트로, 키보드나 마우스, 프린터기 등 CPU가 I/O에게 맡긴 일을 I/O가 다 해서 CPU에게 넘겨주거나, I/O가 일을 처리하는데 CPU의 자원(정보)이 필요할 때 발생 3) 타이머 인터럽트 - 무한루프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있는 인터럽트라고 생각하면 된다. 예를 들어, I/O 장치인 타이머가 주기적으로 CPU한테 타이머가 만료되었다고 인터럽트를 보낸다-> 무한루프 돌고 있던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다른 일을 수행한다. 즉, 스케줄링과..
[OSI 7 계층] 1. 각 계층의 역할 - 전송 계층 TCP: 어플리케이션 계층 메세지 전달 보장, 오류 검출, 흐름제어(송수신자의 속도 일치), 혼잡제어(긴 메세지를 짧게 나눈다-> 네트워크 혼잡시 출발지의 전송속도 줄인다) UDP: 신뢰성, 흐름제어, 혼잡제어 제공X, 오류 검출, 프로세스간 데이터 전달 제공 - 네트워크 계층: 논리 주소 지정, 라우팅 - 데이터링크 계층: 오류제어, 순서제어, 흐름제어 2. 데이터 단위 - 응용 프로그램: 메세지(Message) - TCP/ UDP 통신: 세그먼트(Segment) - 네트워크: 데이터그램(Datagram) - 데이터링크: 프레임(Frame) - 물리: 비트(Bit) 3. 기본적인 용어 - Node: 컴퓨터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장치 - Host: 고..